11월26일 오후에 오사카에서 세종연구소와 한국국제교류재단이 공동 주최하는 ‘오사카 한일관계 심포지엄‘이 열렸다. 10월 말의 대법원 강제징용 판결과 11월 중순의 화해치유재단 해산 이후 한일 사이의 긴장 분위기 때문인지, 동포들뿐 아니라 일본인들도 적잖이 참석했다. 회의 시작부터 끝까지 청중들의 집중도도 매우 높았다.
1부에서 문재인 정권 초기 청와대 안보실 제2차장을 지냈던 김기정 교수가 ‘한반도 정세변화와 동북아 평화’를 주제로 강연을 하고 토론을 했다. 그리고 2부에서는 참석자들이 모두 나서 한일협력 방안을 주제로 토론을 했다.
남북이 주도하고, 정상들이 이끌고, 경제 이익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패러다임의 변화라는 시각에서, 한반도 정세를 설명한 김 교수의 강연은 주목도가 높았다. 그러나 토론의 중점은 자연스레 최근의 한일관계를 반영해, 어떻게 두 나라 관계를 개선해 나갈까로 몰렸다. 특히, 강제징용 판결과 관련해서는 충격이 매우 커 쉽게 풀리지 않을 것이라는 비관론과 갈등의 관리 및 협력확대론, 시간이 지나면서 풀려갈 것이라는 낙관론 등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어떤 것이 정답이라고는 말하기 어렵지만 불편한 시기에 불편한 문제를, 많은 한일 시민 앞에서 공론하는 것, 그것도 시종 자리를 떠나지 않고 경청하는 청중이 있었다는 점만으로도 훌륭한 행사였다고 본다. 백종천 세종연구소 이사장도 1부 사회를 매듭지으면서, 진정한 공공외교의 현장을 보는 것 같았다는 평가를 했다.
나도 축사를 통해, 한국정부는 대법원 판결 존중과 한일관계의 악화 방지라는 두 원칙 아래 대책을 마련하고 있음을 알렸다. 그리고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채 나오고 있는 일본 안의 대법원 판결 비판엔 그렇지 않다는 걸 설명했다. 즉, 이번 판결이 정권교체에 영향을 받았다는 주장엔 이 판결은 이명박 시절인 2012년 대법원 1부 판결의 재확인이라고 말하고, 1965년 한일협정의 부정이란 주장엔 한일협정을 인정한 토대에서 적용범위를 판단한 것이라는 이낙연 총리의 언급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