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inued from 오사카 통신 01-50
期間: 2018年7月29日 – 12月3日
51. 교토에 본사를 두고 있는 세계적 기업 교세라
52. 오사카 이쿠노구의 코리아타운을 다녀왔다
53. 이시바 시게루 전 자민당 간사장의 강연회
54. 공개 강연회 ‘남북 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정세와 새로운 한일・북일관계 전망’
55. 휴가를 다녀왔습니다
56. 고향의 집에서 열린 ‘마음의 교류회’
57. 오사카 남항에서 열린 한국관광공사 주최 ‘일한 구루타메훼스’ 행사
58. 공관장으로 맞는 첫 광복절
59. 제55회 재일본한국인 교육연구대회
60. 도쿄에서 열린 제26회 한일포럼에 참석
61. 교토부 마이즈루시를 다녀왔다
62. 와카야마시와 오쓰시(시가현청 소재지)를 방문
63. 올해는 고려 창건 1100년이 되는 해입니다
64. 오사카 심포니홀에서, 한국 오케스트라의 공연
65. A Korean diplomat in Japan
66. 올해 오사카는 정말 자연재해가 많네요
67. 두 나라 관계를 ‘양에서 질로’ 바꾸는 전환점이 될 수 있을까?
68. 다이와[大和]하우스공업 주식회사를 방문
69. 조선통신사 정사로 분장하고 재현 행렬에 참석
70. 일본 대학 가운데 가장 오래된 류코쿠대학
71. 나라현에 있는 국립여자대학 나라여자대학
72. 고려 건국 1100년 기념 ‘고려청자-비취의 반짝임’ 특별전
73. 자연은 이렇게 무자비하면서도 태연하구나
74. 자연과학 분야에서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는 일본의 저력
75. 제4350주년 개천절에 맞춰 리셉션
76. 독일총영사관에서 주최하는 ‘독일 통일기념일 리셉션’
77. 한일친선의원연맹 의원과 한국 고등학생들에게 강연
78. 세계적인 전통 미디어의 위기
79. 한일공동선언-21세기를 향한 새로운 한일파트너십 발표 20주년
80. ‘공급자 중심’이 아닌 ‘소비자 중심’의 홈페이지
81. 시즈카와 변의 ‘시인 윤동주 기억과 화해의 비’ 건립 1주년
82. 한일 우호친선 다문화공생 페스티발 및 사카이시의 사카이마츠리
83. 10년 동안 이어져 온 ‘한국-간사이 경제포럼’
84. ‘문재인 정권의 평화구상과 한일관계’라는 제목의 강연
85. 제70회 쇼소인전, 고려-금속공예의 찬란함과 신앙 전, 비색과 상감의 고려청자・이조 분청사기 특별전
86. 국립국악관현악단 공연, 건축가 안도 다다오 강연회, 디자이너 고시노 준코 패션쇼
87. 세계적인 기초 소재 기업인 무라타제작소
88. 세계 쓰나미의 날을 맞아 열린 2018 고교생 서미트 인 와카야마
89. 문재인 대통령의 자서전 “운명”, 일본에서 번역 출판
90. 나니와궁(難波宮) 터에서 열렸던 ‘사천왕사(四天王寺) 왔소’ 행사
91. 교토, 후쿠오카, 오카야마, 가고시마에 있는 이비총(耳鼻塚)
92. 민단 와카야마현과 나라현의 지방본부 창단 70주년 기념행사
93. 제 4회 오사카한국영화제 토크쇼에 출연한 황정민씨
94. 내년 6월 말까지 이어지는 민족학교, 민족학급 사제동행 아트쇼
95. 오사카시 덴노지구 통국사에 세워진 제주 4・3 희생자 위령비
96. 민족학교와 민족학급 교사등 민족교육 관계자 연수회
97. 세종연구소와 한국국제교류재단이 공동 주최하는 오사카 한일관계 심포지엄
98. 오사카시 이쿠노구 미유키모리소학교 민족학급 30주년 기념식
99. 민족교육, 왜 중요한가
100. 시가현 민단 창립 70주년 기념식에 참석; 곤고린지와 햐쿠사이지를 탐방
To be continued to 오사카 통신 101-150